대상포진 전염성 및 증상

대상포진은 피부 발진 처럼 나타나며 통증을 동반합니다. 가끔은 겉으로 피부 이상이 나타나지 않고 통증이 심해진 뒤에 발진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대부분 원인은 면역력 저하로 인해 발생된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상포진 전염성 및 증상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소아기 시절 수두에 감염 후 신경 주위에 무증상으로 남아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질 때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참고로 대상포진과 헤르페스는 유전자형이 다릅니다.

대상포진 원인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신경을 따라 피부로 다시 나오면서 대상포진이 발생합니다. 질병, 사고, 스트레스 등으로 몸의 면역력이 약해지면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신경을 따라 피부로 나타나며 대상포진이 발생합니다.

노년 층에서 자주 발생되는 질병이지만, 요즘은 젊은 층에도 면역력 저하 시 대상포진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상포진 증상

대상포진 증상

대상포진은 주로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에 생깁니다. 그러나 신경이 있는 부위이면 얼굴, 팔, 다리, 생식기 주변 등 신체 모든 곳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신경을 따라 퍼짐으로 신체 왼쪽 부분에 퍼지면 왼쪽에만 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상포진은 1 ~ 3일 정도 피부에 붉은 발진이 나타나며, 감기 몸살처럼 열이나 두통이 발생합니다. 이후 수포가 발생하면서 신경을 따라 극심한 신경통을 발생시킵니다.

통증이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심한 경우에는 신경 차단술 등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수포는 1~3주 정도 지속되며, 수포가 사라진 후 검정 딱지처럼 형성하며 아물기 시작합니다.

대상포진 전염성

대상포진 환자를 접촉했다고 해서 전염되지는 않습니다. 이미 어렸을 적 수두에 걸렸다면 대상포진에 전염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수포가 터지고 나서 검은 딱지가 생겼을 때는 전염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대상포진 수포가 터져 나오는 진물에는 전염성이 있다고 하니, 수포가 생겼을 시에는 최대한 수포 부위 접촉을 피하셔야 합니다.

치료 방법

치료 방법으로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는 것입니다. 72시간 내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는 것이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항바이러스제는 7일 정도 복용 하시고, 이후에는 충분한 휴식으로 면역력을 올려 회복하셔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헤르페스, 대상포진 영양제 라이신 복용 후기

📌 헤르페스, 대상포진 영양제 라이신(L-lysine) 효능

📌 커클랜드 미녹시딜 탈모약 후기 및 사용 꿀팁

📌 탈모약 핀페시아 효능 및 후기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